1. 실험 목표
1) 오실로스코프 조작법 숙지 (함수발생기, 데이터저장)
2) 반파정류기의 구현
2. 실험 방법
실험 기기 및 부품 :
① 오실로스코프, 다이오드(정류기), 저항(1MΩ)을 이용하여 회로 구성을 함.
② 오실로스코프 뒷 편에 있는 함수발생기를 이용해 Vin을 아래의 신호로
진폭과 주파수를 각각 설정한 뒤 회로에 연결을 해줌.
- Vin = 1sin(2ωπ f t)[V], f = 10 [Hz]
- Vin = 2.5sin(2ωπ f t)[V], f = 10 [Hz]
- Vin = 2.5sin(2ωπ f t)[V], f = 100 [Hz] (*이 전 게시글과 다른 점; 교수님이 잘못적은 거라고 통해들음-> 정정)
③ CH1에 다이오드(정류기)를 연결하고 CH2에 회로 입력신호를 연결한 뒤 각각의 파형을 측정하여 USB로 엑셀 및 이미지 저장.
④ 저항을 1kΩ오로 바꾸어 ②-③ 수행
⑤ 저항을 10Ω오로 바꾸어 ②-③ 수행
⑥엑셀로받은파일을mat파일화하고, octave로 그림 그리기 수행. (*안 되서 못함..ㅠㅠ)
3. 정리 및 고찰
오실로스코프에 있는 함수발생기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고 다양한 입력신호를 생성 해볼 수 있었다.
실험하기에 앞서 다이오드는 정류해주는 역할로 입력되는 사인파의 반주기만을 선택하여 출력된다는 것을 학습하였고,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 반파정류기 그래프는 사인파의 반주기만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.
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mat 파일 및 octave를 활용해 그래프를 분석하는 법도 배워볼 수 있었다.
이번 실험을 통하여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의 정확한 역할, AC에서 DC로 바꿔주는 것이 다이오드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.
나아가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는 이유를 찾아볼 수 있었다. 여러 이유들이 있었지만 매일 쓰고 있는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정류하는 것을 알았고 이번 실험을 뜻깊게 기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.
결과분석
1) 저항 증가 시, 출력 전압이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
2) 100Hz 신호는 10Hz 신호보다 더 짧은 주기를 가진다.
저항값의 변화가 출력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, 피스파이스를 통해 예상한 결과와 실험데이터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.
'기초전자회로 및 실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파 브릿지 정류기, 커패시터 필터 회로 - 결과보고서 (0) | 2025.04.05 |
---|---|
전파정류회로와 커패시터 필터회로 - 예비 (0) | 2025.03.29 |
반파정류기 실험 - 예비 (0) | 2025.03.20 |
다이오드의 특성(전류-전압 특성곡선) - 결과 (0) | 2025.03.20 |
기초전자회로 및 실험 (0) | 2025.03.20 |